세계 최대의 도시들, ‘거대 광역 도시’를 형성 _ 국제연합UN 리포트

홍콩, 선전, 광저우가 연결되어 형성된 세계 최초의 메가시티mega-city 모습, 총 인구는 1억 2천만이다. * 사진: NASA

글 : 영국 <가디언>지 2010.3.22일자 기사  _ 환경 전문 에디터 존 바이달John Vidal

전 세계의 대형 도시들이 거대한 ‘거대 광역mega-regions’을 형성하기 위해 통합되고 있으며, 그 결과로 도시는 국경을 가로질러 수 백 킬로미터나 확장되는 동시에 1억이 넘는 인구가 거주하게 될 것이라고 국제연합UN의 리포트가 전했다. 세계 최대의 도시들, ‘거대 광역 도시’를 형성 _ 국제연합UN 리포트 더보기

도시의 시대 : 도시가 엄청난 디자인의 도전이 된 까닭

급속한 확장 … 국경선도 라고스의 확장을 막을 순 없다. * 사진 : 데이비드 레빈David Levene

전례없는 도시화 경향의 와중에서, 디자이너는 도시가 쾌적한 환경의 수용 뿐만 아니라 그것을 거주민에게 제공해야 할 이들임을 증명해야만 한다.

국제연합UN, 도시화는 멈추지 않는다.”라는 문구가 지난 주의 가디언지 헤드라인으로 등장했다. 당신은 이 헤드라인에서 어떤 걱정의 분위기를 감지해낼 수 있는가? 이건 거의 “지구 온난화는 멈추지 않는다.”라거나 “평화로운 주말과의 작별”이라는 경고처럼 들린다. 하지만 사실 이렇게 쓰여야 더 나을 것 같다. “도시화는 21세기를 살아가는 인류가 직면한 가장 거대한 디자인 과제다.”

기사는 국제연합-하비타트(UN-Habitat : 국제연합의 거주 문제 해결 프로그램)가 최근 세계 도시들의 상황을 정리해 발표한 자료에 관한 것으로, 몇몇 도시들이 “거대 지역mega-reigion”을 형성하기 위해  마치 수은 방울처럼 모여 통합될 것이라고 예측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개중엔 서부 아프리카의 라고스Lagos, 이바단Ibadan, 롬Lome, 아세라Accera 등 도시들이 통합을 선전포고하고 있는 내용도 있었다. 다 괜찮다. 하지만 이 통합과정이 나이지리아, 베닌, 토고, 가나 등의 국경선을 가로지르며 제멋대로 퍼져나갈 것이라는 점은 문제다.

역사상 처음으로 교외보다 도시에 더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다. 게다가 2050년 까지는 인류의 75% 이상이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말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도시의 휘황찬란한 전등 불빛을 향해 이동하지만 그곳엔 끔찍한 부분이 존재한다. 이런 확장 경향이 있는 도시들 대부분은 이미 수백만이 거주하는 빈민지역을 갖고 있는 것이다. 뭄바이Mumbai, 델리Delhi, 카라치Karachi, 상해Shanghai, 사웅파울루Sao Paulo, 킨샤샤Kinshasa 등 세계적으로 급속히 성장하는 도시들, 이런 도시들 대부분은 2025년 까지 2000만 이상의 인구를 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 이 시간에도 라고스라는 도시는 시간 당 67명 분의 주거지를 확보해야만 한다. 만일 이들 이주민을 위한 디자인을 지금 시작하지 않는다면, 인류의 비극은 정말 상상할 수도 없는 지경이 될 것이다.

예컨대 런던, 파리, 로마 등 우리가 그토록 사랑하는 도시들은 긴 역사에 걸쳐 서서히 성장해왔다. 마치 다른 종류의 제품인양, 우리가 서 있는 이 곳은 새로운 도시 공간을 ‘제조’하고 있는 지점이다. 1960년대, 철학자 앙리 르페브르는 “도시공간은 새로운 상품”이라고 주장하면서 이런 상황을 예견했었다. 그는 단지 추측만 하는 주식이나 지분이 아닌 도시의 파편들에 주목했다. 요약하자면, 그의 이론은 150여년 간의 산업화 과정이 도시화로 대체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오늘날 우리는 산업화 시대에서 정보화 시대로의 이동을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또한 도시의 시대로 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도시공간의 상품화는 르페브르가 살던 시기로부터 급속하게 진행되어왔다.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그 어떤 죄책감으로부터도 벗어나게 했던 규제의 철폐는 마찬가지로 도시의 얼굴 또한 변하게 만들고 있다. 자유무역이라는 허울은 수많은 도시의 공적인 공간들을 그저 체인형 상점에서 쇼핑을 하거나 코스타 커피에서 음료를 마시는 장소가 되도록 강요하고, 때로는 사설 경비원들의 감시 아래에서 그 짓을 하도록 만든다. 공공 서비스에서와 마찬가지로, 공적 공간의 사유화는 정부가 민주적인 책임을 회피할 수 있도록 틈새를 열어주는 하나의 술수일 뿐이다.

르페브르도 도시가 이 정도로 상품이 되는 상황을 예측하지는 못했다. 요즘엔 어떤 고객이 새로운 도시를 만들어 달라고 유명한 건축가에게 고작 전화 한 통을 걸어 주문을 할 수가 있다. 노먼 포스터가 디자인한 아부다비Abu Dhabi의 친환경 도시 마스다Masdar나,  런던의 아럽Arup사가 디자인한 인기있는 친환경 도시 동탄, 그리고 천진이 그러하다. 향후 20년 간 3억의 도시 거주민이 생겨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에서, ‘그냥 지으면 사람이 온다’는 따위의 방식 이외에는 답이 없다.

물론 도시의 생산은 역사를 갖고 있다. 지난 세기의 전환기에 있었던 에베네처 하워드Ebenezer Howard의 공원도시 운동Garden Cities movement의 결과로 레치워스Letchworth라는 도시가 만들어졌고, 미국에서는 뉴 어버니즘New Urbanism이 트루먼 쇼The Truman Show의 배경이 되었던 플로리다 주의 시사이드Seaside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이 사례들은 도시를 혐오하던 사람들이 디자인한 회피론자들의 판타지에 불과했다. 더 들어맞는 사례들로는 정치적인 염원을 영웅적으로 그려낸 브라질의 브라질리아, 카자흐스탄의 아스타나Astana, 그리고 이 모두를 짬뽕한 두바이가 있다. 경제 침체 이후로 두바이가 폐기된 건 한 줄기 빛이었지만, 제품이나 브랜드로서의 도시를 확연히 보여주는 사례로는 두바이만한 곳도 사실 없었다.

브랜드 컨설턴시는 근대 도시의 숨은 실력자이다. 그들은 시장의 역할을 자임하기도 하는데, 조이 디비전Joy Division의 앨범 표지를 디자인한 광신적 디자이너 피터 사빌Peter Saville에게 그런 임무가 떨어지기도 했다. 그는 몇 년 전 맨체스터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되었다. 캐나다의 디자인 구루 브루스 마우도 그러하다. 그는 “메카(성지)의 미래 비전을 제공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과 함께 등장했고, 이제 그것은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라는 명제가 되었다. 고수익을 보장하는 행사들인 올림픽, 유럽 문화 수도, 세계 디자인 수도 등이 선정되는 전지구적인 경쟁체제 속에서, 그의 명제는 도시의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세계의 부를 만들어내는 엔진과도 같은 도시, 그것은 본 바탕인 국가들보다도 더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한다.

묻고자 하는 것은 이거다. 우리는 빽빽이 사람들이 들어찬 컨테이너와 같은 곳이 아니라 쾌적하고 공평한 삶의 공간으로 도시를 창조할 것인가? 도시로의 값싼 이동 수단을 제공하는 이지젯과 같은 것 때문에 수많은 수도들 간이 바로 연결되는 도시문화 특유의 상황을 누군가 이야기한 적이 있다. 하지만 당신이 꿈 꾸고 있는 이상향이 이런 모습은 아닐 것이다. 도시에서의 차별과 사회적 양극화는 점점 더 극단화로 치닫고 있고, 폭력이 난무하는 상황이 될 것이 분명하다. 국제연합UN의 자료는 그런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제 도시 구축은 우선적인 과제가 되었다. 정치인들은 디자이너들에게 믿음을 보여줘야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마지막 사반세기로부터 우리가 배운 점은 자유주의와 자유무역이라는 허상에서 벗어나 평등이라는 가치를 향해 나아가야만 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via The Guardian | The urban age: how cities became our greatest design challenge yet | Justin McGuirk.

 

이사갑니다.

SSALL_IMAGES_01466_JPG.JPG

하숙집 방 값이 만만치가 않습니다. 밥값이라도 줄여야 하는 신세가 되다보니 이번달을 마지막으로 이사를 계획했습니다. 그래서 몇주전부터 새로 살 집, 아니 ‘방’을 알아봤었는데, 마침 나온 좋은 방을 얻게 되어서 계약을 했고 이번주에는 잠깐이나마 정들었던 이 집을 떠나야 할 듯 합니다.

지금 살고있는 집의 주인아저씨의 성은 Mans Bridge입니다. 이름은 Steve. 뭔가 다리와 연관이 있을듯한데요, 그래서인지 집 앞에는 런던가는 기차가 지나가는 굴다리가 있습니다.

첫 날에 도착해서 처음 알게된 것은 주인아저씨가 부엌에 못들어간다는 사실과, 아주머니가 감자를 참 좋아하시는구나… 하는 거였습니다. 메쉬포테이토라고 하는 정체불명의 하얀 물체를 보고 당황했던 것이 엇그제인데 이제는 없어서 못먹는 것이 되었습니다. 배고프니 별것이 다 맛있습니다. 후추와 소금만 있다면 세상에 못먹을 것이 없을 것 같습니다. ‘후추’란 양념에 왜 유럽사람들이 광분했던 건지 조금 알것같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아무튼 주인아저씨처럼 저도 부엌의 경계를 넘어본 일이 없습니다.

우리 주인아저씨 스티브는 한국전 때 영국군으로 참전했던 사람입니다. 영국 땅에 와서 생각지도 않던 한국전 참전군인을 만나게 되었을 때, 그냥 저절로 수고하셨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 땡큐를 연발했었습니다. 저희 부모님이 이걸 아신다면 윤호가 영국가서 철들었구나 하시겠죠. 누군가는 당연히 전쟁히 필요하다고 하듯, 심각한 고민 없이 전쟁을 반대해야 한다고 생각했었지만, 내나라에서 생사를 건 경험을 했다는 실제인물을 보니 저절로 그렇게 되어버렸습니다. 생각으로야 뭘 못하겠습니까. 그동안 말만 신나게 해왔던 것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봐야겠다 싶었습니다. 아무튼 주인아저씨가 전쟁을 싫어하는 이유는 정치적인 것도 아니고 경제적인 것도 아니었습니다. 자신은 운 좋게도 살아왔지만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저세상으로 간 친구들이 참 많다는 겁니다.

아무튼 아저씨와 같이 살면선 돈 얘기도 (물가가 너무 비싸다보니 그렇겠죠.) 정말 많이 들었습니다. 언젠가 영국의 한 노파가 주민세를 안내고 버티다가 감옥에 가게 되자 신문과 뉴스에 그 이야기가 연일 보도된 적이 있었는데, 그 때가 가장 절정이었던 듯 합니다. 한국을 나서기 전 들었던 말대로, 사람 손이 간 모든 것들이 참 비쌉니다. 피쉬엔 칩은 피쉬엔 익스펜시브..라고 해야 적당할 듯 하고, 대형 수퍼마켓들은 장보는 사람들로 넘치는 반면에 작은 가게들은 모두 죽어가는 분위깁니다. 이런건 한국보다는 이미 훨씬 진행이 더 된 상태인것같습니다. 지방도시인 이곳에도 수많은 수퍼스토어들이 성업중이니까요.

쎄인즈버리 (정육점으로 시작, 역사가 150년이 넘었다.)
아스다 (최저가가 다 모이는 곳, 몇년 전 미국 월마트가 인수)
테스코 (말 그대로 테스코… )
좀머필드
웨이트로스
코옵

B&Q (청계천같은 곳)
Comet
PCWORLD
등등,, 정말 많습니다.

아저씨는 가디언 대신 선데이미러나 아거스라는 지방지를 즐겨봅니다. 제가 한번은 구경삼아 가디언 일요판을 사간적이 있는데, 아저씨는 ‘이 신문은 비즈니스맨들이 보는거야. 난 워커라서이런건 안봐.’라고 하시더군요. 정말 상반되는 것이, 한국에서는 금기에 속하는 계급에 대한 언급이 이곳에서는 공공연하게 일반적으로 대화속에 많이 포함된다는 겁니다. 아저씨의 말 처럼 말이죠. 한국서도 중산층이나 서민이라는 말들을 하긴 하지만 ‘나 서민이라서 이거 안봐.’라거나 ‘저 학교는 주로 중산층들이 다니는 곳이야.’라는,,, 등의 얘기들을 그냥 하지는 않으니까요.

안그래도 해변가의 눈부신 하얀 절벽(화이트클립) 바로 옆에는 유명한 사립학교가 있습니다. 건물이나 환경이 정말 눈부십니다. 그 학교에 한국의 로열패밀리들이 많다는 얘기를 아저씨에게서 들었습니다. 블레어는 미들클래스이지만 노동당수로서 워킹클라스인 척 하면서 살아가고, 내가 다니는 학교의 한 교수는 자기 집안이 부유한 정치가문이었지만 좌파집안인 탓에 큰 저택에서 살면서도 불을 안피우고 살았다는 등의 약간은 낮선 얘기를 들었습니다. 저택에서 살지만 불을 안피우는 좌파운동가라…., 계급을 드러내는 것을 꺼리지 않는 것도 신기했지만, 그런 차이에 의한 계급간의 반목과 같은 것을 찾기 힘들다는 것 등등이 저에겐 참 생소합니다.

‘서울 사람들은 지금 어떻게 살고있니?라고 저에게 아저씨가 물었을 때, 전 그냥 열심히 살고있는 아저씨에게 실망을 주지 않기 위해서 약간 부정적으로 답했습니다. ‘잘들 살지만 아직 어려운 사람들이 더 많다’고 말이죠. 솔직하게 생각해본다면 지금 살고있는 이곳 또한 달동네여서인지, 예전의 월곡동 사람들처럼 삽니다. 쪼그만 집에 오래된 가구들, 모든 것들이 너무 오래 된지라 거의 매주마다 이것 저것 직접 수리하면서 살아갑니다. 수리공을 부르는 건 엄두도 못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