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Korea’ Feted in Osaka

[Captured Article]
The 2005 ‘Hana’ Festival attracts both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thousands of Japanese.

tomo_256436_1[380079].jpg
The festival banner, which reads “Hana” (One). ?2005 T. Mori

On the afternoon of Oct. 30, the “One Korea Festival 2005” entertained thousands of Japanese and Korean spectators at the “Sun Plaza” in Osakajo Park, Osaka.

This is a festival for Korean residents of Japan. The overall theme is the promotion of unification of Korea.

tomo_256436_1[380081].jpg
Chong Gap Su ?2005 T. Mori

I first went to the organizers’ headquarters and interviewed chairman Chong Gap Su.

“This year is the 6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 Unification of Korea has already started, but it is a long process. But, it has already started,” Chong said.

“We will be brightening up the festival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I want young people to hold out hope for Asia and overcoming nationalism. A unity of citizens.”

I got the impression that Mr. Chong i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festival. I was moved deeply.

At 1 p.m. the “South Korea-Japan Friendship” committee took the stage for the opening ceremony. The South Korea-Japan friendship organization committee sponsored the event. Written on the curtain were two messages, “We are sorry for the longstanding hardships caused by Japan” and “We promise to work hard to create a splendid future.”

tomo_256436_1[380084].jpg
Chairman Chong Gap Su and members of staff demonstrate the festival’s message of solidarity. ?2005 T. Mori

Committee member Lee Bu Yeon declared, “What we want to say to the Japanese people is ‘one.’ Our mother country should unite into one. We crave peace.”

He added, “The Korean peninsula is uniting into one. We think that it also wants the Japanese to help. We should not hold a grudge against the Japanese any longer. Lend power so that peace may visit us in the future. This is what the Japanese should do.”

Applause filled the hall.

Lee Chang Bok, who is chairman of the committee, poignantly added, “We crave for peace. Japan should recognize that Japan tried to destroy peace.”

When the opening ceremony ended, the committee treated Korean residents in Japan to lunch. Moreover, Japanese over the age of 65 were also invited. I thought that the essence of the event was made clear by the coming together of both Koreans and Japanese over a nice meal.

Afterwards, a concert started. First was Jung Tae Chun and Park Eun Ok. Their beautiful singing voices were melodious. Song Byeong Ho led the audience in song. When Yu Jin Park played Khachaturian’s “Sword dance” on the electric violin, performing a comical and exciting dance, he gripped the audience’s attention.

Finally, the MC announced the final act as a “legendary singer in South Korea.”

The hall was filled with excitement when Ahn Chi Hwan appeared on stage. He sang “If I Am” and “In Front of Wire Entanglements” to great appreciation from the audience. And when he sang “The People Are More Beautiful than Flowers,” some in the audience began to dance.

“Our School” was last song, which cast a reflective mood over the hall.

tomo_256436_1[380085].jpg
The hall was filled with excitement when Ahn Chi Hwan appeared. ?2005 T. Mori

Korean children were also center stage at the event. “Palace Women Jangkeum,” a musical version of the popular Korean TV drama “Dae Jang Keum” was performed by students at KJ musical school.

After musical, Lim Ho, who is the actor who plays King Jungjong addressed the audience. The handsome actor’s mustache became him. He answered questions from some of the children who had performed in the musical.
Q: What is the most delicious dish that you ate in the drama?
Lim Ho: A dish with mixed bean paste and garlic.

Q: What is most difficult part of your performance?
Lim Ho: It is eating. It is considerably painful because I have to eat many times from morning. Though it looks delicious in the actual drama.

Q: Mr. Lim, you’re so good-looking. Please say, “Yum, that tastes good.” [The child’s line in the drama.]
Lim Ho: Yum, that tastes good. [The hall burst out in laughter.]
Next, the chairman took the opportunity to ask a question of Mr. Lim. “Which actor would you like to co-star with?” Lim replied Naoto Takenaka [a famous Japanese film actor].

The keyword of the One Korea Festival is “Hana. ” Korean residents in Japan shouted “Hana!” for South Korea, North Korea and Japan. The message is put across in their songs and dances, and it aims to bring the East Asian community closer together.

I sincerely wish for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The festival prompted me to swear to do all I can to help in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2005-11-02 05:06
?2005 OhmyNews

Is Korea’s Military Ignoring Recruits’ Health?

[Captured Article]Is Korea’s Military Ignoring Recruits’ Health?

Despite warning signs during his national service, a young man’s stomach cancer goes undiagnosed

todd_255502_1[377467].jpg

A 28-year-old South Korean, whose fight with stomach cancer prompted an unprecedented wave of sympathy and online fundraising, has died.

Roh Chung Guk, a former taekwondo major at Yongin University, who served full-term mandatory military service until June 24, 2005, died of stomach cancer in the early hours of Oct. 27.

han_255417_1[377482].jpeg
Roh Chung Guk

The poignancy of Roh’s story — the rapid progression from chronic ulcer to stomach cancer in just a few months — has sparked a lot of finger pointing between the military and his family about his death. Could it have been detected earlier, and who is responsible for any lapse?

His father has said that the family will not hold a funeral until the underlying reasons for his son’s death are settled with the Defense Ministry.

Yet at the same time, Roh’s story has prompted yet another of a rare online fundraising in South Korea, one of the world’s most wired country and where mililitary service is mandatory for healthy young males.

Since his story appeared on OhmyNews on Monday, readers have raised a total collection of 9.3 million won (US$9,000) for the Roh family. Donations varied from smaller amounts of several thousand won to 30,000 won. Five million won has been delivered to the family thus far.

One online reader, who uses the ID “catseye” wrote: “The military might regard Roh’s case as an individual one, but for a large majority of us Koreans it’s like a story about a brother. I don’t know how the military could have let its service member develop cancer. It’s just too unfair to dismiss it as a lot of one unfortunate individual.”

The news of his death is prompting a flood of online goodbyes from readers on major online portals as well as on OhmyNews.

In April 2005, Roh was diagnosed with a chronic ulcer at a South Korean military hospital in Gwangju. He was a soldier serving at the Army’s ammunition headquarters, with only two months left before returning home.

Back as a civilian, he went for a checkup at a private hospital and on July 7, the hospital said he was suffering from late-stage cancer of the stomach. Last week, his father, Roh Chun Seok, 62, was told by the doctor “prepare for your son’s funeral.”

Prior to his treatment at the Army’s Gwangju hospital, in March, he had knocked on the doors of his unit’s military doctor. Roh was turned away from an endoscopy procedure, because he had come on a full stomach, military officials have said.

Roh’s parents, whose father makes his living on daily labor, has petitioned the South Korean Defense Ministry, and other related military agencies. “My son developed cancer while serving in the Army, and did not receive proper medical treatment, therefore, the military officials should be held responsible.

But the Army has cautiously rebuffed any accountability. One official with the Army headquarters, who spoke on the condition of anonymity, has told OhmyNews that while Roh’s case was regrettable, “It’s important to determine whether Roh’s cancer developed from stress of military service, or whether because of his genes.”

“If it’s the latter, the military cannot be held responsible,” the official said.

Mandatory military service for healthy, young South Korean males has been in the spotlight lately. Earlier this year, a young soldier, stressed from serving on the frontline unit along South Korea’s demilitarized zone facing North Korea, killed eight of his fellow soldiers in a shooting rampage.

Many parents are still petitioning to find out the truth of “mysterious” deaths of their sons who have died while in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Web sites of the presidential Blue House and the Ministry of Defense have been bombarded with letters appealing for help for Roh and his family, as well as those condemning what they viewed as nonchalance on the part of the military.

2005-10-27 15:53
?2005 OhmyNews

25% of North Korean

[Captured Article]

25% of North Korean Defectors Suffer PTSD
With more women escaping than ever before, mental and gynecological care is critical

todd_255112_1[376583].jpg
Pulling out a tooth must have been scary for an elderly defector at Hanawon, a government-run resettlement center in Seoul. He quickly gets up and says he will come back, as soon as the dentist suggests the prognosis of an extraction. ?2005 Jang Y.S.

Between 20 to 30 out of 100 North Korean defectors require mental health assessments, and some women defectors are in need of gynecological treatment, a volunteer nurse at Hanawon said in an interview with OhmyNews.

Jeon Jeong Hee, a 43-year-old nurse based in Seoul, volunteers at Hana clinic, a hospital affiliated with Hanawon, a South Korean government-run settlement center for North Korean defectors. South Korean government mandates that all North Korean defectors go through the three-month adjustment training at Hanawon, which is largely closed to the media. But on Oct. 19, Hanawon was opened to the several members of the press.

todd_255112_1[376584].jpg
Jeon Jeong Hee ?2005 Jang Y.S.

Jeon works with at least 80 patients a day: Hanawon guests frequently seek medial treatment, she said. Settlers complain of illnesses varying from headaches to bad teeth and indigestion.

Many times, the physical symptoms stem deep within, coming from the mind and heart. About 60 percent of defectors speak of psychological difficulties such as depression, panic attack, anxiety disorder and hysteria.

“They tend to reveal these emotional conflicts through physical symptoms,” she said. “Some people I talk to have hard time controlling their emotions when they talk about their past ordeals. They repeat a pattern of reliving their ordeals even amid a new-found safety in the South.”

“Also gynecological treatment is needed as more and more women their 20s and 30s, are defecting,” Jeon said, adding that 70 percent of the new settlers that defect via a third country are women.

Multiple Hanawon officials, speaking on the condition of anonymity, detected sign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omen are more susceptible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ecause in their long course of defection, they have been subject to prostitution or witnessed indescribable tragedies such as murder of their children, right in front of their eyes,” the official said.

In a change from initial defection following North Korea’s 1995 famine, where mainly men fled the North, more women and family-unit defectors are arriving in the South. Part of the reason is that husbands who have settled first in the South are bringing in their wives and family members.

Hanawon offers treatment in internal, Oriental and dental medicine.

The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has ultrasound and endoscope equipment. The dental department last year provided dental prosthesis including dentures for 98 recent North Korean defectors, making use of a government-subsidy worth 60 million won.

Jeon is one of the three South Korean recipients who will receive the Nightingale Award from the International Red Cross on Oct. 27.

Jeon believes what is more crucial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is after leaving Hanawon to treat PTSD, that treatment continue at the local level. While at Hanawon, they at least have access to decent medical services.

“It’s hard for people who have lived in peaceful times to understand the hardships of these people who traveled with no identity or nationality,” Jeon said.

Kim Won Ho, an official with Hanawon, said that the facility is providing individual mental health programs to deal with post-arrival anxieties for its inmates.

“We are currently talking wit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bout having a resident psychiatrist at Hanawon,” Kim said.

2005-10-25 17:37
?2005 OhmyNews

한국 현대공예가 목록

한국 현대공예가 #

알게되는 인물과 이력 추가하기!!

강경희 1945 서울대 서울대대학원수료
강찬균 1938 서울대 이태리_프로렌스미술대학수학
고승관 1943 경희대교육대학원수료
고창환 1952 홍익대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곽순화 1953 서울대대학원응용미술과수료
김승희 1947 서울대 미국인디애나대학원수료
김은선 1954 홍익대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김재영 1946 숙명여대 홍익대대학원수료
김종두 1948 중앙대
김종식 1949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김태호 1948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김화숙 1951 홍익대 홍익대대학원수료
김혜경 1953 서울대
남경숙 1950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노용(영)숙 1949 숙명여대 숙명여대미술대학원수료
민경운(은) 1951 국민대대학원재학
민병휘 1949 홍익대 홍익대산미대학원
박인철 1948 홍익대 홍익대대학원수료
박정자 1953 효성여대대학원수료
박종성 1947 홍익대
박호성 1950 홍익대산미대학원
배창숙 1955 서울대
백인자 1955 중앙대 중앙대대학원수료
변건호 1948 홍익대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송명수 —
신권희 1937 홍익대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안귀숙 1954 홍익대 홍익대대학원수료
안미형 1952 서울대
오영민 1948 홍익대대학원수료
오원택 1948 홍익대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오융경 1942 홍익개대학원수료
우진순 1948 서울대 서울대대학원수료 스웨덴국립디자인공예대학
유리지 1945 서울대 미국템플대학교타일러미술학교 서울대대학원수료
윤여옥 1945 원광대대학원수료
이경자 1953 중앙대
이규현 1946 오스트리아빈국립미술대학원수료
이성근 1953 홍익대 홍익대대학원
이성원 1946 서독뉴렌베르크국립미술대학 동대학원
이은규 1944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이필재 1954 서울대대학원수료
이충우 1952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이혜란 1953 서울대 서울대대학원수료
전영순 1946 서라벌예대 홍익대대학원수료
전용주 홍익대대학원수료
전용일 서울대, 미국 마이애미 대학원 금속공예
정량희 재 일본(1983)
주예경 1950 홍익대대학원수료
최정자 1946 홍익대대학원수료
최현칠 1939 홍익대 홍익대대학원수료
홍경희 1954 홍익대 홍익대대학원수료
홍정실 1947 서울대대학원수료
황인철 중앙대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한국 공예가회 10회전

한국 공예가회 10회전에 부쳐

한국의 현대공예는 전통적인 수공예와 현대적인 기계공예의 중간에 끼여서 일종의 과도기적인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그것은 머리는 앞섰지마는 손이 뒤진다는 현상을 일으키고, 이상과 현실이 유리되는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미술사적인 혼란은 비단 우리나라의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근대국가에서, 그의 선진화 과정에서 반드시 겪어야 할 일종의 홍역인지도 모른다.
오늘날 한국 공예계에서 볼 수 있는 일종의 혼란도 그러한 역사적인 배경에서 이해를 한다면 그의 정체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희망찬 내일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공예가회는 1974년 9월에 창설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의욕적인 공예가들이 모인 단체이다. 그의 형성은 금속.도자.목칠.연직 등 네 분야에 걸쳐있기 때문에 사실상 그래픽을 빼놓은 전 공예가 망라된 셈이다. 그러한 공예가회가 창설된지 10년이 되어서 이번에 그 10회전을 개최하게 되었다. 이 10년간 그들이 시도하고 실험한 작품세계는 직접.간접적으로 우리나라 공예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러한 현상으로서는 첫째, 교육적인 성과를 들 수 있고, 둘째, 작품적인 성과를 들 수가 있다.
첫째, 교육적인 성과라는 것은, 회원들의 거의 전부가 교육자로서 전국의 대학에서 후진을 양성한다는 입장에 있기 ㅤㄸㅒㅤ문에, 그들 회원이 교실에서 가르치는 것이 곧 공예상의 새로운 실험이고 성과가 되는 것이다. 이때 일어나는 현상으로서는, 디자인의 문제를 비롯해서 기능분석, 새로운 재료의 개발, 가공기술의 개선 등에 걸치고 있다.
둘째, 작품상의 성과라는 것은, 그들이 비교적 40대, 50대의 창조력이 왕성한 공예가이기 때문에, 작품에 대한 열의가 대단하다. 전통의 문제를 그들 나름대로 해석하고, 거기에다 현대적인 감각을 가미하는 그들의 작품세계는 오랜 전통에서 되풀이만을 거듭했던 근대 이전의 공예에 비해서 괄목할 만한 탈바꿈을 성취하였다. 거기에다 자기들의 체질과 개성을 가미하고, 기능을 새로 개발함으로써 한국의 현대공예에 새로운 창조를 하고저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한국 공예가회라는 집단의 힘으로, ”’아직 부분적인 면에서 과도기적인 후진속에 허덕이고 있는 한국의 현대공예가 선진화작업을 완수한다면 그보다도 다행한 일은 없다.
이러한 그들에 대한 주문은, 그들만의 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나라 국민의 생활수준의 향상과, 선진적인 공업화가 무었보다도 앞서야 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983년 10월 미술평론가 이경성

금속부문 출신교별 분류

강경희 1945 서울대 서울대대학원수료
강찬균 1938 서울대 이태리_프로렌스미술대학수학
고승관 1943 경희대교육대학원수료
고창환 1952 홍익대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곽순화 1953 서울대대학원응용미술과수료
김승희 1947 서울대 미국인디애나대학원수료
김은선 1954 홍익대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김재영 1946 숙명여대 홍익대대학원수료
김종두 1948 중앙대
김종식 1949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김태호 1948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김화숙 1951 홍익대 홍익대대학원수료
김혜경 1953 서울대
남경숙 1950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노용(영)숙 1949 숙명여대 숙명여대미술대학원수료
민경운(은) 1951 국민대대학원재학
민병휘 1949 홍익대 홍익대산미대학원
박인철 1948 홍익대 홍익대대학원수료
박정자 1953 효성여대대학원수료
박종성 1947 홍익대
박호성 1950 홍익대산미대학원
배창숙 1955 서울대
백인자 1955 중앙대 중앙대대학원수료
변건호 1948 홍익대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송명수 —
신권희 1937 홍익대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안귀숙 1954 홍익대 홍익대대학원수료
안미형 1952 서울대
오영민 1948 홍익대대학원수료
오원택 1948 홍익대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오융경 1942 홍익개대학원수료
우진순 1948 서울대 서울대대학원수료 스웨덴국립디자인공예대학
유리지 1945 서울대 미국템플대학교타일러미술학교 서울대대학원수료
윤여옥 1945 원광대대학원수료
이경자 1953 중앙대
이규현 1946 오스트리아빈국립미술대학원수료
이성근 1953 홍익대 홍익대대학원
이성원 1946 서독뉴렌베르크국립미술대학 동대학원
이은규 1944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이필재 1954 서울대대학원수료
이충우 1952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이혜란 1953 서울대 서울대대학원수료
전영순 1946 서라벌예대 홍익대대학원수료
전용주 홍익대대학원수료
정량희 재 일본(1983)
주예경 1950 홍익대대학원수료
최정자 1946 홍익대대학원수료
최현칠 1939 홍익대 홍익대대학원수료
홍경희 1954 홍익대 홍익대대학원수료
홍정실 1947 서울대대학원수료
황인철 중앙대 홍익대산미대학원수료

1960 – 1997 한국현대사 연표

Chronology of Korean Modern History #
제 2 공화국(1960~1961 )

1960년
8월
제2공화국 대통령에 윤보선(尹潽善) 선출.
14일, 북한 김일성, 남·북 연방제 제의.

1961년
2월
대일정책결의안(선국교·후경제 등) 채택

5월
군사정변. 군사혁명위원회 발족(의장 장도영·부의장 박정희)
장면내각 총사퇴. 혁명위,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편(18)

7월
경제재건 5개년 계획 발표

8월
박정희 최고의장 8·12성명(정권 이양시기˙국회 구성문제 등) 발표

12월
첫 학사자격 국가고시 실시.

1961년
1월
공용년호를 서력으로 변경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성안

3월
원자력연구소 원자로에 첫 점화

윤보선 대통령 사임

증권시장, 약 500억 환의 5월분 수도 결제 불이행(증권파동)

제2차 통화개혁(10대 1로 평가절하, ‘환’을 ‘원’으로 변경)

제 3 공화국(1963~1972 )

1963년
1월
민간인 정치활동 재개

2월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2·18성명(민정 불참선언 및 정국수습 9개 방안 제시) 발표

10월
서울 가정법원 개원

12월
박정희 제5대 대통 령 취임, 제6대 국회 개원.

1964년
8월
한국기자 협회 발족

10월
한·월남, 월남지원을 위한 국군 파견에 관한 협정 체결.

1965년
1월
국무회의, 비전투병력 2,000명 월남파병 의결.

3월
단일변동환율제 실시

4월
한·일협정 반대데모대, 효창공원서 시민궐기대회.

6월
한·일 협정 조인, 국교 정상화

7월
이승만 하와 이서 사망, 23일 유해 환국.

1966년
2월
과학기술연구소(KIST) 발족

3월
국세청·수산청 발족

6월
김기수, 세계주니어미들급 챔피언이 됨

7월
한·미행정협정 조인(1967. 2. 9. 발효)

제2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공표

10월
존슨 미국 대통령 한국 방문

1967
3월
과학기술처 신설, 원자력원을 청으로 개 칭

6월
제6대 대통령 선거(공화당 박정희 후보 당선, 7.1. 취임).

8월
제1차 한·일각료회담 개최(도쿄).

1968년
1월
1·21사태, 북한 무장공비 31명 서울 침입

미 정보함 푸에블로호, 원 산 앞바다서 북한에 피랍

2월
경전선 개통

4월
향토예비군 창설

5월
제1차 한· 미국방장관회의(워싱턴)

7월
문교부, 중학입시제도 폐지 발표

9월
제1회 한국무역박람회 개막.

10월
문교부, 대학입시 예비고사제 실시 발표.

11월
시·도민증 없애고 주민등록증으로 대체

서울시의 전차 철거

12월
광화문 복원 준공

1969년
3월
국토통일원 개원

가정의례준칙 발표

김수환 대주교, 추기경에 서품

6월
3선개헌반대 학생 데모 시작

7월
경인고속도로 개통

9월
3선개헌안·국민투표법안 국회서 변칙 통과

12월
국제통화기금, 한국을 특별인출권(SDR)통과공여국 으로 지정.

1970년
4월
서울 와우시민아파트 도괴. 사망 33명

5월
서울대교 개통

금산 인공위성지구국 우주통신 중계 개시

7월
우편번호제 실시

경부고속도로 개통

10월
국토종합개발 10개년계획 확 정

1971년
2월
제3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발표

4월
제7대 대통령선거 실시(박정희 후보 당선, 7. 3. 취임)

7월
충남 공주에서 백제 무령왕릉(武寧王陵) 발굴

12월
국가보안법 국회서 변칙 통과.

제 4 공화국 : 유신(1972~1979 )

1972년
5월
프랑스 파리에서 세계 최고의 고려금속활자로 인쇄된 《직지심경(直指心經)》 발견.

8월
박정희 대통령, ‘경제안정과 성장에 관한 긴급명령’ 발표(기업사채 동결)

남북적십자사, 첫 본회담 평양에서 개막

10월
계엄사, 포고 제1호로 대학휴교, 신문·통신 사전검열제 실시

11월
유신헌법 확정

12월
첫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12월 23일, 통일주체국 민회의, 제8대 대통령에 박정희후보 선출(12. 27. 취임).

1973년
2월
비상국무회의, 국정감사 폐지법안 의결.

3월
한국방송공사 발족

4월
한국 여자탁구팀 세계 제패(유고 사라예 보)

5월
어린이 대공원 개원.

8월
김대중피랍사건 발생(일본 도쿄), 한일간 긴장 야기

1974년
1월
박정희 대통령, 긴급조치 1호(개헌논의 금지)·2호(비상군법회의 설치) 선포

8월
광복절기념식장서 박정희 대통령 저격 미수사건 발생. 대통령부인 육영수 피격 서거

서울시지하철(서울역~청량리역 간) 개통.

11월
유엔군사령부,
북한은 비무장지대에 땅굴을 파고 남방 1`km까지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했다고 발표.

포드 미국 대통령 내한, 한·미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1975년
2월
유신헌법 찬반 국민투표 실시(찬성 73.11`%).

9월
여의도에 새 국회의사당 준공

민방위대 발대식

10월
영동·동해고속도로 개통.

1976년
6월
경제기획원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

8월
양정모 몬트리올 올림픽 경기대회 레슬링 자유형 페더급에서 첫 금메달 획득

북한군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에 서 집단 도끼만행으로 미군 장교 2명 살해

10월
전남 신안 앞바다에서 송·원대의 유물 대 량 인양.

1977년
5월
하비브 브라운 미국 대통령 특사, 박정희대통령과 회담, 철군문제 협의.

6월
국내 최초로 고리원자력 1호 발전기 점화

7월
부가가치세제 실시

1978년
4월
세종문화회관 개관

6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개원

제2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집회에서 박정희후보 제9대 대통령 당선

11월
한·미연합사 령부 발족

1979년
6월
카터 미국 대통령 내한. 1·2차 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10월
국회, 김영삼의원 제명

마산·창원에 위수령 선포. 충남 삽교호방조제 준공.
박정희 대통령 김재규 정보부장에 의해 피격 사망(10·26사태).

대통령권한대행에 최규 하 국무총리 취임

제 5 공화국(1980~1988 )

1980년
2월
최규하 대통령, 각계 원로·중진 23명으로 국정자문회의 구성

5월
정부, 전국에 비상계엄 확대

광주학생시민대규모 데모(5.18 광주항쟁)

계엄하의 대통령 자문보좌기관으로 국가보위비상대책위 신설
(의장 최규하 대통령, 상 임위원장 전두환 중앙정보부장서리).

8월
컬러 텔레비전 시판 개시

최규하 대통령 하야

전두환 국보위상임위원장, 제11대 대통령에 당선

9월
대학교육개혁시안 발표 (학과별 최소 졸업정원제 채택).

11월
신문협회·방송협회, 언론기관 통폐합 결정

1981년
1월
민주정의당 창당(총재 전두환)

정부, 비상계엄 전면 해제

4월
국정자문회의 발족(의장 최규하)

5월
공정거래위원회 발족.

9월
제84차 IOC총회, 제24회 하계올림픽경기대회 서울 개최 의결.

1982년
1월
중고생 교복(83년부터)과 머리형 자율화하기로 결정

1983년
1월
공직자윤리법(고위공직자의 재산등록)발표.

6월
KBS 이산가족찾기 생방송 시작. 1만 189명 혈육 상봉

10월
미얀마 양곤의 아웅산묘소서 북한 공작원이 장치한 폭탄 폭발,
참배 준배 중이던 서석준 부총리 등 한국 고위관리 17명 순국.

11월
미국 대통령 레이건 내한(12일 1차 한·미정상회담, 14일 공동성명 발표).

88서울올림픽경기대회 휘장·마스 코트 발표.

5월
교황 바오로 2세 방한(6일 여의도에서 한국순교자 103위의 시성식 집 전).

1984년
4월
미국 대통령 레이건 한반도 안정위해 남북한과 미·중국의 4자회담 제의

홍콩서 실종된 영화배우 최은희, 감독 신상옥의 북한 납치사실 발표

5월
서울대공원 개원

1985년
6월
김영삼·김대중 회동, 민주화요구 공동발표문 채택

8월
고대 의대, 냉동정액을 이용한 수정으 로 임신된 아기가 국내에서 처음 탄생했다고 발표

9월
서울과 평양에서 이산 40년만에 고향방문단 혈육 상봉

한국이 참여한 첫 해외개발유전인 인도네시아 마두라 유전서 생산 개시

11월
한국, 남극자원보존협약 가입.

1986년
3월
납북된 최은희·신상옥, 오스트리아 빈에서 미국 대사관으로 탈출

재무부, 덤핑방지관세제 실시

8월
새 국립중앙박물관, 구 중앙청청사를 개조해 개관

9월
제10회 서울아시아경기대회 개막(∼10월 5일)

10월
(주)삼성전자 문태원 연구원, 세계 최 초로 초소형 4mm VTR개발.

1987년
1월
서울대생 박종철군, 경찰고문으로 사망.

2월
과학기술원 윤한식·손태항 박 사팀, 최강력고분자 알로이섬유 세계 최초로 개발

6월
민정당, 노태우 대표위원을 대통령후보로 선출

12월
중앙선관위 노태우 민정당후보 당선 공 포.

제 6 공화국(1988~1992 )

1988년
1월
대한상의,
공산권 경제단체와는 처음으로 헝가리 상공회의소 경제협력확대를 위 한 업무협조협정 체결

2월
금호그룹에 제2민간항공인가

보사부, 국내 첫 AIDS환자 발생 발표

노태우 대통령 당선자, 제13대 대통령 취임

7월
월북작가의 해방전 문학작품에 대한 출판허용조치 발표

9월
서울장애자올림픽 개막(65개국 4,361명 참가)

11월
전두환 전 대통령,
자신의 재임 중에 일어났던 비리를 시인·사과하고 재산 일체를 국가에 헌납하 기로 발표.

1989년
2월
헝거리와 국교 수립(공산권 국가로는 처음).

3월
문익환 목사, 북경을 경유 평양에 도착, 김일성과 회담

8월
동아건설, 세계 최대규모인 리비아 2차대수로공사를 수주(53억달러)

1990년
1월
노태우 대통령·김영삼 민주당 총재·김종필 공화당 총재,
청와대에서 3당 통합 을 선언.

2월
외무부, 모스크바주재 영사 처 개설을 발표

5월
교통부, 수도권 신공항입지를 영종도로 확정

6월
국무회의, 새 민방(民放)의 방송법 개정안 의결

12월
소련 방문(∼17일). 14일 양 국 정상이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회담 후 모스크바선언

국회, 지방자치 법·지방의회선거법·지방자치단체선거법 등
지자제관계 3개법안 통과.

1991년
1월
정부, 걸프전의 군의료진지원조사단 26명 사우디에 파병

한국의료지 원단 현지로 출발

3월
시·군·구의회의원선거 실시

9월
유엔총회, 남북한유엔가입안을 만장일치로 통과

12월
새 민방 서울방송 (SBS) 개국.

1992년
1월
노태우 대통령과 부시 미국 대통령,
정상회담에서 미국측의 대북한 직접협상을 배제하고 한반도핵문제는 당사자끼리 해결해야 하며, 북한은 조기에 핵안전협정에 서명하고 국제 사찰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

2월
남북한, 두만강개발회담 실무접촉에서 나진·선봉지구개발에 공동보조하기로 합의

남북고위급회담(평양)에서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와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등 합의서 본문을 교환·발효

4월
정부, 쌀을 제외한 모든 농산물을 개 방한다는 내용의 농산물협상이행계획서를 GATT에 제출

8월
황영조 (黃永祚), 바로셀로나올림픽경기대회 마라톤 우승

12월
, 김영삼후보 당선

대한민국 (大韓民國) 2

문민정부(1993~1998 )

1993년
2월
북한, 핵확산금지조약(NPT)탈퇴 선언

4월
정부, 소말리아 유엔평화유지활동(PKO)에 약 250명의
건설공병부대를 파견하 기로 유엔측에 공식통보

5월
국회, 공직자윤리법 개정안 처리

8월
경부고속철도 차종을 프랑스 알스톰사의 TGV로 확정

금융실 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대통령긴급재정경제명령을 발표

대전 엑스포 개막

9월
우리별 2호 발사 성공(프랑스령 기아나)

10월
전교조(全敎組), 해직교사의 복직문제와 관련하여 쟁점이 되어 온
전교조탈퇴 조건을 수용 복직

12월
한국 및 미국, 쌀시장개방안 타결.

1994년
1월
서울지검, 장영자(張玲子)를 107억원을 편 취하고 37억원의
당좌수표 중 5억원을 부도낸 혐의로 재구속

4월
김영삼 대통령과 이희창(李會昌) 국무총리,
통일안보정책조정회의의 갈등으로 국무총리 사표 제출

7월
평양방송, 김일성 사망(8일)을 보도

9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태권도 2000년 시드니 올림픽경기대회 정식종목으 로 승인

10월
성수대교 붕괴

12월
기획원-재무부, 건 설부-교통부를 통합하는 등 정부조직개편.

삼성 자동차 진출 허용

WTO비준 동의안 국회 통과

1995년
1월
부동산실명제 7월 1일부터 실시하기로 확정발표

3월
케이블TV 27개채널 본방송 개시

5월
북한에 조건없이 곡물을 제공할 용의가 있음을 밝히고
남북 대표회담개최 제의

6월
27 일, 지방선거 실시. 서울시장 조순(趙淳) 후보 당선, 여당 참패

쌀 15만톤 북한지원 합의

서울 삼풍백화점 2개동 중 북쪽건 물 붕괴

7월
김대중 정계 복귀 선언

10월
수출 1000억달러 돌파

11월
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5.18 특별법 제정 지시

12월
전두환 전 대통령 구속

1996년
4월
한반도 4자회담 제안

5월
2002 월드컵 일본과 공동 유치

8월
한총련 사태

9월
북한 무장공비 침투사건

10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

11월
조선총독부 건물 완전 철거

1997년
1월
한보 철강 부도

2월
황장엽 북한 노동당 비서 망명

5월
김현철 구속

8월
KAL기 괌 추락 사고

11월
IMF구제금융 공식요청

12월
IMF협상 타결 (구제금융 약 550억 달러 결정)

제 15대 대통령 선거 김대중(국민회의-현 민주당) 후보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