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ation X and the 1990s

DSC_7912.JPG
questionable....

232번 글까지 태그를 새로 달고 편집했다. 그러고보니 이 블로그에 뭔가를 쌓기 시작한지 10년이 얼추 되어간다. 새 글을 올리는 일보다 쌓인 것을 정리하는 걸 보면, 죽음이 가까워지는 것? 켁.. 아무튼 요즘엔 주구장창 기획서만 쓴다. 정확히 하자면 기획서를 어느 곳에 보낸 후 이제 그걸 좀 더 세밀하게 다시 연구용 기획서로 편집하는 중인데, 아직 진행이 시원찮다.

간단히 말해 내용은 이런거다. 90년대에 대학을 다녔던 – <88만원 세대>의 우석훈이 ‘엑수세대’라고 칭하는 – 학생들 가운데 미술대학, 그리고 그 가운데에서 산업디자인이나 공예를 전공했던 이들의 현재를 추적해보는 일. 사실 이렇게 설정한 모둠에는 나도 포함된다. 아무튼 나는 이 시기가 그 전과 다르게, 그리고 지금 현재보다도 더 실험적인 시기였다는 가정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우씨 또한 “다양성 1세대가 될 뻔 했던” 이들이라고 이 90년대 학번을 정의하고 있다.

그 실험이란 무엇이었을까. 나는 디자인과 공예를 전공했던 90년대 학번들이 각각 디자이너와 공예가로서, 혹은 서구식으로 규정해보자면 디자이너-메이커, 즉 독립적으로 -그 규모를 떠나 – 디자인과 생산, 판매 등 보다 넓은 주변 영역으로 삐져나가기 시작했다고 추정한다. 물론 이러한 활동은 한국 뿐만이 아니었다. 아주 조금 이른 시기인 80년대~90년대 사이 영국에서도 디자이너메이커의 활동이 부각되기 시작했고, 그들을 규정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요즘 성행하는 대안디자인전시(디자이너스블록 류의)가 처음 모습을 드러낸 것도 그 시기였다.

엑수세대론은 여러 문헌을 통해서 나타나듯이 서구와 한국을 함께 놓고 비교할 수 없다. 서구의 엑수세대는 포디즘 붕괴와 동시에 나타난, 60년대 후반 출생자의 문화현상이다. 이에 비해 한국은 1990년대 후반의 경제위기를 포디즘 해체시점으로(우석훈) 보고 있으므로, 70년대 후반 출생자의 문화현상으로 볼 수 있겠다.

앞서 ‘실험’이라고 뭉뚱그린 내용들 모두를 엑스세대라는 세대론에 비추어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없지 않으나 한국과 서구에서의 엑스세대를 규정하는 일반적인 사례들과 함께 그 ‘실험’을 살펴보는 것이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아무튼 스스로 엑수세대의 일원이었는지도 모를 상황에서 다양한 사례들을 수집하는 것이 쉬워보이지는 않는다. 온통 다들 아는 사람들을 들먹거려야 하니 말이다. 사실 이렇게 규정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가 오히려 더 궁금해지는 것도 문제라면 문제. 세대나 그 세대의 특성을 규정하는 것에 그친다면 아무런 울림도 없을테니까.

좀 더 생각해보자.

글쓴이

Yoonho Choi

independent researcher in design, media, and locality & working as a technology evangelist in both design and media industries

댓글 남기기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