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과 댓글

지율의 단식이 상식을 넘어 장기화되고있다. 신문들은 연일 그의 처량한 몰골을 비추느라 무엇이 둘 간의 문제였는지는 관심도 없다. 드러난 내용은 정부의 국책사업과 천성산의 보존문제가 만들어내는 갈등이다. 반대하는 이들이나 찬성하는 이들이나 미디어를 통해 많은 정보를 얻었을 것이다.

한국처럼, 더군다나 인터넷에 접근하는 한국인처럼 뉴스를 받아들이는 과정이 ‘자동화’되어있는 경우는 드물것같다. 이미 주요 메이저 신문과 군소 인터넷 신문들의 기사는 네이버나 다음 등의 포털을 거쳐 절대다수의 인터넷 이용자에게 배급되고 있다. 논란이 된 적이 있지만 포털 뉴스편집의 기준이 아얘 없었을 때는 정보의 왜곡이 지금보다 심했으면 심했지 덜하지 않았다. 가령 ‘황우석 중대발표..’라는 링크를 눌렀더니 ‘황우석 중대발표 소문에 불과해….’라는 뉴스였다던지 하는 식의 방식은 지금도 포털뉴스에서 없어지지 않았고 가끔씩은 메이저 뉴스사이트에서도 똑같은 방식이 사용되곤 한다.

아무튼 ‘네티즌’들은 댓글을 달고 ‘블로거’들은 트랙백을 쏘며 생각을 나눈다. 중요한 것은 우리는 나누는 것에 그치지 않고 뭉친다는거다. ‘운동’이란 무언가. 사실 말이 다를 뿐이지 다음 아고라에서 동의표를 얻는 일, 댓글몰이에 성공해서 지원군을 얻는 일, 게임을 해도 길드에 속하게 되는 일들이 그저 개별적으로 일어나는 상관없는 일들일까? 우리는 혹시 운동의 형태를 가지지 않으면, ‘떼’를 지어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어떤 결과도 일궈낼 수 없을 것이라고 은연중에 느끼고 있는 것이 아닐까?

아무튼 지율의 단식 기사에 달린, 그리고 ‘떼’의 모습을 한 공격적인 댓글을 보다가 잠깐 적어봤다. 생각을 드러내는 일, 참여하고 소통하는 일은 차이를 이해하는 일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정부의 시각이 이러니 방해하는 너의 단식은 의미없다. 중 맞아?’라는 식의 무섭도록 간결한 결론을 그들은 어떻게 만들어내었을까. 최소한 두 의견 사이에서 생겨나는 갈등에 대해서 둘 모두의 입장에서 잠시라도 아파해 줄 수는 없는 걸까.

그러고보면, 댓글을 달 때 생각하는 시간이란건 어느 다른 방법으로 글을 쓰거나 말로 전달할 때 보다도 압도적으로 짧은것같다. 나의 경우엔.

글쓴이

Yoonho Choi

independent researcher in design, media, and locality & working as a technology evangelist in both design and media industries

댓글 남기기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