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팔가 스퀘어>
런던을 여행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들렀을 트라팔가 스퀘어, 그 양쪽에는 조각상이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유심히 살펴본 이들이라면 특이한 점을 발견할 것인데 그것이 바로 왼쪽편에 위치한 포트 플린스Fourth Plinth, 바로 ‘네번째 대좌’이다.
<트라팔가 스퀘어>
런던을 여행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들렀을 트라팔가 스퀘어, 그 양쪽에는 조각상이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유심히 살펴본 이들이라면 특이한 점을 발견할 것인데 그것이 바로 왼쪽편에 위치한 포트 플린스Fourth Plinth, 바로 ‘네번째 대좌’이다.
평소에 남들보다 사진을 아주 많이 찍고 관리하는 편입니다. 항상 많은 수의 사진들을 관리하는데 따르는 압박감이 상당한 편이죠. 피카사는 그래서 저에겐 아주 놀라울 정도의 도구라고 할 수 있는데요, 처리속도와 편의성 등등, 하나의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줄 수 있는 편리함이 어떤건지 군더더기없이 잘 보여주는 도구라고 생각해왔었습니다. 구글에서 만들지는 않았지만 적당한 회사에 인수되었다는 생각도 했었습니다만..
최근에 비비씨의 다큐멘터리에서 유럽사람들이 쓰고 버린 컴퓨터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제3세계에서의 범죄와 환경파괴원인이 되는 고리를 찾는 내용을 방송했습니다.
이야기는 나이지리아의 한 컴퓨터 상점에서 구입한 중고 하드디스크에 담긴 내용을 복구해서 찾아낸 다음, 그 정보를 들고 직접 원래사용자들을 만나면서 시작됩니다. 영국이나 유럽에서 난데없이 자신의 모든 사실을 알고있는 기자를 만난 일반인들은 아주 놀라버리죠.
하드디스크의 정보가 개인사용자 수준의 단계에서 깨끗이 지워지기란 쉬운일이 아닙니다. 단순한 디스크 포맷과 지우기 정도는 마치 서류 캐비넷의 분류표정도만을 지우는 것과 같아서, 이렇게 포맷된 디스크에서 하나하나의 파일들을 살리는 일은 전문집단이 손쉽게 할 수 있는 일입니다. 문제는 이런 컴퓨터의 사용량과 교체주기가 빨라지면서 공개되는 사적인 정보의 량 또한 엄청나게 늘어났다는 겁니다.
서섹스대학에 오는분의 물음에 메일로 답한 것인데 브라이튼대학이나 언어연수를 처음 오는분들께 유용할수도 있을듯.. 그래서 저장합니다.
서섹스대학 위치는 브라이튼(&호브)시와 팔머마을(아마도)의 경계에 있어요. 서섹스다운이라는 완만한 평원지대가 시작되는 지점이라서 아주 경치는 좋은 곳이지만 브라이튼 시내에서는 버스로 2-30분정도 걸리는 거리입니다.
생각만큼 먼 거리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떠들어대는 일, 속도를 선전해온 사람들의 주된 양념이었던것같다. 교통수단의 속도만큼 줄어든 거리감을, ‘직접 느끼기보다는 읽거나 듣고 느껴온’걸 보면 사람들 참 욕심도 많다.?정말 빨라졌을까? 모든것이? 넓어진 영역만큼 내 용량도 커졌을까?? 인터넷으론 불충분해 더보기
테크노크라티, 딜리셔스 이 두가지의 신기한 물건을 오가면서 한 일이주를 보낸것같다.?하는 공부와?관련된 검색어들을 찾아보며 분주히 마우스 버튼을 눌러본 결과, 특이한, 아니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가 모니터에 덜렁 남고 말았다. 영어권의 Observer(다수의 그라픽디자인 칼럼니스트들이 줄창 써대는 문화비평 블로그)나 Things Magazine(영국 RCA디자인사과정 프로젝트)과 같은 블로그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정보의 공유와 그를 통한 지식의 재생산이 우리나라의 블로그에서는 관찰되지 않고, 딜리셔스나 테크노크라티 대부분의 링크들은 웹디자이너(현업 웹디자이너분들이 아무래도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의 링크가 대부분이라는 것. 검색중에 또하나 발견한 것은 디자인+이론+담론… 등과 같은 한글 검색어로 웹 정보들을 긁어보면 태반이 온라인 도서사이트의 책소개 페이지로 연결된다는 거다. 이점은 어찌보면 디자인도서 판매가 잘되는건가.. 하고 착각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만큼 온라인상에 띄워져있는 특정 정보의 양이 모자란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아닐지.?
온라인 정보는 나름의 단점과 장점을 가지고있다. 보관의 방법, 검색의 용이성, 자료의 정확도, 신뢰성과 관련된 수많은 논란들이 있지만,?비교적 온라인 정보교류의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는 부분들 중 하나로서?’담론 만들기와 나누기’의 기능을 들 수 있을것같다. 실제로 테크노크라티나 딜리셔스의 경우와 같은 툴들을 통해 그런 역할들은 증폭될 수 있음은 대형사건과 관련된 영어권 블로그의 사례를 통해 확인된 바 있다. 특히 디자인과 관련된 Observer나 Things Magazine과 같은 영어권 웹사이트들은 이미 딜리셔스나 테크노크라티와 같은 ‘인터넷 기술자’들의 전유물처럼 들리는 고차원적 서비스에 이미 단골 사이트로 수십, 수백명이상의 사용자에게 링크되어있다.
우리나라에서 정보화에 관한 논의는 어느 분야에서건 서서히 증가되어왔지만 효과적인 도구로서의 의미라기보다는 고차원적인 장난감이나 선전도구로서 받아들여져왔음을 부인할 수 없다. 우리나라는 정부가 줄창 선전해왔듯 세계최고품질의 기간통신망과 하드웨어시설을 곳곳에 구비한지 이미 오래이며, (관련분야 종사자로서 확언하건데) 제일 많은 수의 웹디자이너들이 있는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이렇다할 대표적인 디자인 학술저널이 없다는건 불균형적인 현상이 아닐 수 없다. 딜리셔스인지 뭔지는 솔직히 별로 중요한 얘기가 아니다. 디자인과 관련된 사람으로서 무언가 말하려한다면 그것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잘 찾아야만 할거같다는거다. 이미 인터넷은 잡탕밥처럼 뒤섞여가고 있는데, 아직까지 미적거리고만 있는건 정말 위험한 일.?한 공부한다는 학자분들이 학회나 세미나 대신 체신머리없이 인터넷에 뛰어들기를 주저한다면 디자이너들이라도 나설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래서 생각했다.
앞으로 할일에 “인터넷에 디자인저널 만들기”를 포함.
생각이 있어도 말하지 않는다면 그건 생각이 없는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