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빗은 런던의 에펠탑이 될 것인가?

아니쉬 카푸의 오빗Orbit 타워 공개 석상에서 디자인은 로즈의 조각상Colossus of Rhodes과 바벨탑에 비견되었다. 하지만 이런 어리석음의 역사란 그리 상서로운 것이 아니다. 과거를 더듬어 보면 로즈의 조각상은 겨우 몇 십년 간 서 있다가 지진으로 파괴되었고, 바벨탑은 창세기가 들려주듯 그걸 쌓아 올린 자들을 미화하기 위해 지어졌었다.

계획 중인 아르셀로미탈 오빗ArcelorMittal Orbit이 과연 어느 정도로 보리스 존슨, 카푸, 락슈미 미탈의 영광을 위한 것이 될지 나 자신도 가늠하기 어렵다. 또한 올림픽의 기업 홍보적 기능이 조형물의 세부 요소들을 통해 드러나고 있듯이 오빗은 그다지 예술 작품으로 보이지도 않는다. 하지만 작가의 의도는 차치하고서라도, 가장 거지같은 비교는 아르셀로미탈 오빗을 에펠탑과 함께 놓는 일이다. (역주 : 아르셀로미탈 철강회사는 오빗의 건축비를 후원하며, 그에 따라 이 조형물의 이름은 아르셀로미탈 오빗이다. 락슈미 미탈은 이 회사의 총수)

구스타프 에펠이 디자인한 파리의 상징적인 타워는 애초에 공공 미술 작품으로 디자인된 것이 아니다. 게다가 20년 이상 파리에 남아있을 계획도 없었다. 그건 단지 1889년의 파리 세계 박람회Exposition Universelle의 입구였고, 해체하기 쉽도록 디자인되었다. 에펠탑은 파리 예술계의 반대에 부딛혔지만 세계의 주목을 받으며 예술 작품이 되었다.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그 실용성 때문에 사라지는 일을 면했다. 에펠탑은 20세기 초, 초기 라디오 전파의 실험에 이용되었고, 1910년에는 우주광선cosmic rays의 감지에 동원되었다. 오늘날까지 그 꼭대기는 안테나로 가득하고, 바닥은 관광객들로 인해 분주하다.

카푸가 디자인한 구조물을 에펠과 비교하면서 발생하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파리의 에펠탑을 보기에 그럴 듯 하게 만드는 건, 그 형태가 바람의 힘을 감안하여 만들어졌다는 사실이다.  인간의 어리석음에 기반한 형태가 아니라. 에펠은 이렇게 말했었다.

이 타워를 디자인하면서 주로 고려한 것이 어떤 것이었는지, 뭐라고 말해야 할까요? 그것은 바람에 대한 저항성이었습니다. 그 다음에 저는 구조물의 다리 넷의 바깥쪽으로 만곡선을 적용했습니다. 수학적 계산 결과에 따른 이 방식은 대단히 강한 느낌과 아름다움을 선사할 것입니다. 전체적으로 강력함이 관찰자의 시선 앞에 드러나도록 디자인했습니다.

자연의 힘을 따르는 방식에 의해서 에펠탑의 거대한 철골 구조는 우아함을 차츰 보여주기 시작했고, 거의 자연 환경의 일부가 되었다.

이에 비해 카푸의 구조물은 자연을 압도하는 인간의 지배력을 과시하려는 좋은 사례일 뿐이다. 그 구불구불한 모양은 마치 롤러코스터가 녹아내린 듯 한데, 어느 트위터 유저는 “그건 엉겨 붙은 창자같다.”고 말한다. 이런 끔찍함은 (또한 끔찍한) 데미안 허스트가 아니라 카푸가 디자인 계약을 따냈다는 사실을 내 마음에 곧 바로 상기시킨다.

그러나 카푸와 에펠의 비교에 있어서 최악의 부분은 런던이 쇠붙이로 만든 타워 따위에서 파리라는 경쟁자를 필요로 한다는 어처구니 없는 관념이다. 런던은 이미 2012 올림픽의 유치 경쟁에서 승리하고서도 프랑스의 상처에 소금을 바르는 짓을 하고 있다. 누군가 카푸의 오빗이 파리의 에펠탑보다 100미터가 낮을 것이고, 꼬맹이인 블랙풀 타워Blackpool Tower에 비해서도 20미터가 짧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복제된 런던판 에펠탑의 부족한 독창성은 패러디에 가까운 일이 될 뿐이다.

오빗이 런던의 스카이라인을 점유할 자격이 있는지를 결정할 진정한 요인은 그것을 받아들일 런던 사람들의 의사일수밖에 없다. 오늘날 에펠탑을 혐오하는 파리지앵들을 찾기는 어렵다. 보리스 존슨 시장은 카푸의 오빗 타워에 20년 간의 시기 제한을 두어야 한다. 그 후 공공의 의사를 묻고 그 결정에 따르도록 해야만 한다. 그리고 만일 2032년에 오빗이 스트랏포드Stratford의 거주민들에게 외면받는다면, 곧 바로 철거되어야만 한다. 오빗은 철골로 만들어질 것이므로 안전하게 재활용될 수 있다.

이런 기본 절차는 적어도 한 번 런던의 다른 상징물에 적용된 적이 있다. 거대한 관람차인 런던 아이London Eye는 공학적 솜씨와 우아한 형태가 결합된 것으로서 애초에 임시 관광시설이었다. 런던 아이는 그 후 시험 기간을 거쳐왔고, 이제 당분간 테임즈 강변에 머물게 될 것이다. 이로써 런던은 이미 에펠에 대적할 수 있는 경쟁 상대를 가진 셈이다. 파노라마처럼 런던의 풍경을 감상하는 것도 이미 런던 아이에서 가능한 일이다.

건축 비평가인 톰 다이크호프Tom Dyckhoff는 카푸의 오빗을 일컬어 “거대한 쓰레기 씨Mr Messy”라고 명명했다. 하지만 시간을 두고 차분히들 생각하시라. 그래야 카푸의 오빗이 거대한 혈전(막혀버린 피 덩어리)처럼 당신의 혈압을 높이게 되는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 당신이 오빗을 좋아하건 혐오하건 간에, “오빗이 구스타브 에펠을 압도할 거”라고 말한 존슨 시장에게 최후의 발언을 해야만 한다. 거기엔 이론의 여지가 없다.

via Will the Orbit become London’s Eiffel? | John Graham-Cumming | Comment is free | guardian.co.uk.

시험대가 된 런던 트라팔가스퀘어

<트라팔가 스퀘어>

Fourth Plinth
Fourth Plinth

런던을 여행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들렀을 트라팔가 스퀘어, 그 양쪽에는 조각상이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유심히 살펴본 이들이라면 특이한 점을 발견할 것인데 그것이 바로 왼쪽편에 위치한 포트 플린스Fourth Plinth, 바로 ‘네번째 대좌’이다.

시험대가 된 런던 트라팔가스퀘어 더보기

삽날에 맞은 예술

한예종 이론 과정 폐지에 대한 논란을 지켜보면서 한편으로는 안타까운 마음이 들다가도, 다른 한편으로는 그러한 날 선 정치적 공세에 막연한 방어밖에 할 수 없는 현실이 더 답답하다. 이참에 우리 모두 당해보면 더욱 절실해지겠지만, 결과적으로 이번 싸움에서 그들이 그 ‘삽’에 맞서 방어에 성공할 수 있을까?

삽날에 맞은 예술 더보기

예술과 사회주의 / Art and Socialism

현재상태 : 번역중

친구들이여, 나는 당신이 상업으로의 예술의 관계들에 대하여 심사숙고하기를 바랍니다. 여기서 상업은 일반적인 의미 바로 그것입니다. 즉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늘날 상업이 취할 수 있으리라 예상하는 오직 하나뿐인 형식, 즉 시장에서의 경쟁체계인 것이지요.

예술이 상업보다 큰 권력을 가졌을 때가 있었습니다. 예술이 정말 필요했고 우리가 이해하는 단어인 상업이 별것이 아니었을 때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반대로 상업이 대단히 중요한 것이 되고 예술이 별것 아닌 것이 될 것입니다. 이점은 내가 예상하는 것이지만, 모두에 의해서 받아들여질 것이기도 합니다. 예술과 사회주의 / Art and Socialism 더보기

백남준 타계

?°±??¨?¤?

[한겨레] 미술을 아틀리에에서 미디어의 영역으로 끌어낸 거장 백남준씨가 ‘미디어 아트의 창시자’라는 이름을 남긴 채 29일(미국 현지시각) 숨졌다. 국내 예술계와 화랑들은 그의 안타까운 별세 소식을 설 연휴 마지막 날 갑작스레 맞아야 했다.

백씨의 죽음은 가족 중에 아내 구보타 시게코만 지켜본 것으로 알려졌다. 백씨는 해마다 겨울 추위를 피해 부인과 함께 11월께부터 마이애미 아파트에 머물다 4~5월께 뉴욕의 자택으로 되돌아가곤 했다고 백씨를 아는 국내 지인들은 전했다. 그는 평소 뉴욕 맨해튼의 ‘백남준스튜디오’ 등에서 젊은 작가들과 만나 대화를 나누는 일을 즐겼지만 자신의 사생활에 대해선 극히 말을 아낀 것으로 지인들 사이에 기억되고 있다.

백씨는 타계하기 직전까지도 ‘마지막 작품’에 몰두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술사가 문인희씨는 “선생님은 최근까지도 늘 드로잉을 하시면서 마지막 비디오 아트를 준비하고 계셨다”며 “마지막 작품이 아직 구상 단계인지, 아니면 완성 단계인지는 잘 모른다”고 말했다.

백씨의 유해는 한국시각으로 31일쯤 뉴욕 매디슨 애비뉴의 병원으로 옮기진 뒤 그곳에서 장지를 결정하고 장례를 치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장지가 한국 땅이 될 가능성에 대한 말들도 국내 예술계에서 조심스럽게 오가고 있다. 백씨는 정준모 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실장 등 한국 미술계 인사들에게 ‘나는 서울 창진동에서 태어나 정릉에서 피아노를 배웠다. 한국 땅에 돌아가고 싶다’는 말을 자주 했던 것으로 기억되고 있다.

또 이종선 경기도박물관장은 30일 “백남준 선생은 평소 자신이 죽으면 한국에 돌아가 용인에 묻히고 싶다는 말을 자주 했다”고 전했다. 그는 “백 선생은 어머니와 조국에 대한 사랑을 작품 사이사이에 담아 표현했던 한국의 예술가”라며 “경기도 용인에 건립 중인 백남준미술관과 그의 안식처가 함께 있게 된다면 이 지역은 여러 추모전·기획전들이 열리는 미디어 아트의 중심지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문화재단은 2001년부터 지상 2층, 연면적 1645평의 백남준미술관 건립에 들어갔으며 이미 67억원을 들여 백씨의 레이저 작품, 비디오 아트 작품 등 60여점을 구입해 김포 대한항공 물품보관창고에 보관 중이다. 경기문화재단의 송태호 대표이사는 “그동안 미술관 건립 문제는 백씨의 조카인 켄 하쿠다가 운영하는 뉴욕의 백남준스튜디오와 상의했기 때문에 (미술관 건립은) 백씨의 사망과 관계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르면 내일 중 미국을 방문해 조문한 뒤 백씨의 유택을 미술관에 모시는 문제 등을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