섞어찌개 영국

British Isles
British Isles

Great Britain은 지리적 표현이며 United Kingdom은 정치적 표현입니다. Great Britain은 영국의 여러 섬들 중 가장 큰 섬을 뜻하며 북대서양과 북해 사이에 위치합니다. Great Britain은 두번째로 큰 아일랜드(지리학적)의 약 2.5배이며 이 두 섬을 한꺼번에 British Isles이라고 부릅니다.

British Isles이란 말은 지리적으로 두 섬을 함께 부를 때 쓰며, 현재는 두개의 정치적 지역으로 나뉘어있습니다. 둘 중 작은 the Republic of Ireland의 수도는 Dublin이며, 큰 것인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의 수도는 런던입니다. 이 명칭은 줄여서 the United Kingdom, 혹은 UK라고 쓰여집니다.

지리적으로 Great Britain은 상당히 다른 역사적 기원을 가진 세개의 국가로 나뉘는데 그것이 바로 스코틀랜드, 웨일즈 그리고 잉글랜드입니다. 웨일즈는 16세기까지 잉글랜드의 통치를 받다 통합되었고, 스코틀랜드 또한 1707년에 잉글랜드와 정치적으로 통합되었습니다. 지리적 구분인 Great Britain 전 지역의 정치체제들과 Ireland가 하나로 통합된 1801년, 이 새로운 정치체제는 하나의 왕국인 the United Kingdom으로 불려지게 됩니다.

1922년 the Republic of Ireland는 런던이 수도인 the United Kingdom에서 독립하여 더블린을 수도로 하는 독립국가가 되었습니다. Britain이나 British라는 말은 종종 큰 섬인 Great Britain과 그곳에 사는 사람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Northern Ireland를 포함한 Great Britain을 뜻할 때도 있습니다. England와 English라는 말은 가장 흔하게 오용되는데 이것은 전체 영국인을 말하기보다는 잉글랜드지역과 그곳의 사람만을 뜻하는 것입니다.

포털과 댓글

지율의 단식이 상식을 넘어 장기화되고있다. 신문들은 연일 그의 처량한 몰골을 비추느라 무엇이 둘 간의 문제였는지는 관심도 없다. 드러난 내용은 정부의 국책사업과 천성산의 보존문제가 만들어내는 갈등이다. 반대하는 이들이나 찬성하는 이들이나 미디어를 통해 많은 정보를 얻었을 것이다.

한국처럼, 더군다나 인터넷에 접근하는 한국인처럼 뉴스를 받아들이는 과정이 ‘자동화’되어있는 경우는 드물것같다. 이미 주요 메이저 신문과 군소 인터넷 신문들의 기사는 네이버나 다음 등의 포털을 거쳐 절대다수의 인터넷 이용자에게 배급되고 있다. 논란이 된 적이 있지만 포털 뉴스편집의 기준이 아얘 없었을 때는 정보의 왜곡이 지금보다 심했으면 심했지 덜하지 않았다. 가령 ‘황우석 중대발표..’라는 링크를 눌렀더니 ‘황우석 중대발표 소문에 불과해….’라는 뉴스였다던지 하는 식의 방식은 지금도 포털뉴스에서 없어지지 않았고 가끔씩은 메이저 뉴스사이트에서도 똑같은 방식이 사용되곤 한다. 포털과 댓글 더보기

대중 : 정통 문화

잠깐 본 책, ‘문화연구와 문화이론'(현실문화연구 역)의 마르크스주의 / 프랑크푸르트학파 편을 읽다가 예술 민주화 – 디자인… 정도로 이해하던 생각의 틀에 의문이 생기는 문구를 발견했다. 마르크스적 대중예술의 해석과 정통예술의 해석에 있어 책의 한 부분은 대체로 대중예술을 계급의 유지를 위한 것으로 보며 정통예술을 지켜야 할 진보적 이상향으로 생각하는 듯 한데, 그 이유는 대중예술은 어긋난 신화적 환상의 실재화를 통해 대중의 현실안주를 이끈다고 보기 때문이다. 하나의 아이디어로 다뤄지고 있는 부분이지만 생각 좀 해봐야겠다. 152페이지.

문화산업의 ‘동화작용이 역사적으로 미성숙한 것이며 스스로의 지배력은 유지시키면서 다른 문화는 평등하게 만들려고 한다.’고 믿었던 것이다. 짧게 말하면 문화의 민주화는 완전한 민주주의의 요구를 가로막는 결과를 가져오며, 결국 기존 질서를 그대로 고수시키는 것이 된다.

선진적 의상?

에보 모랄레스와 코피 아난
에보 모랄레스와 코피 아난

볼리비아의 대통령 당선자인 에보 모랄레스가 이른바 ‘스웨터외교’를 하며 중국, 프랑스, 스페인, 남아공 정상들과 회담을 진행하고 있어 화제라고 동아일보가 외신을 인용 보도했습니다.

오직 한벌의 스웨터를 입고 계속 각국의 정상들을 만난 이 당선자에 대해서 국제적 의전 상식에 맞지 않는다는 볼리비아 국내와 해외의 비판이 있었나봅니다. 그들에 대해서 포르투갈의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사마라구 씨는 “문명국가의 어리석은 자부심을 반영하는 것”이라며 일침을 놓았다고 합니다. 무조건 ‘양복’을 안입으면 격식에 안맞는다고 생각하는 것이 그리 타당하지 않다는 걸 잘 보여주는 해프닝이라고 할 수 있을듯. 자국의 전통 고급의상인 위의 스웨터를 입으며 순방외교를 펼치는 인디오 출신 대통령 당선자를 두고, 볼리비아의 한 언론은 위생에 좋지 않다고 했다는데, 과연 한벌의 스웨터를 잘 빨아입는 것이 두벌의 양복을 안빨고 번갈아입는 것 보다 청결할까요? 청결의 문제를 말도 안되게 비판의 잣대로 삼은 그나라의 언론도 참 흥미롭습니다.

공예생산체제의 디자이너들

초기의 대량 생산체제에서 우리가 모두 알고 있는 ‘디자인하기’가 존재하게 된 정확한 시기를 집어내는 것과 그 쓸만한 사례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현대 디자이너의 기원을 찾는 일은 특별히 어려운데, 왜냐하면 그것은 개인이나 – 혹은 디자인 과정에 개입된, 그리고 대량 생산체제의 구조를 변화시킨 – 개인들의 직업구분이 불명확하게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공예생산체제의 디자이너들 더보기